티스토리 뷰
기상 전선의 의미와 종류별 영향
기상 전선의 의미
기상 전선(weather front)은 넓은 지역에 퍼져 있는 비슷한 성질의 공기의 덩어리이며 지속적으로 움직이는 경계선 부분인 기단(air mass)의 충돌 장소를 의미합니다. 이때 찬 공기가 따뜻한 공기 영역으로 이동하면 한랭 전선이고, 따뜻한 공기가 차가운 공기 영역으로 이동하면 한랭 전선이라고 부릅니다. 일기 예보에서 온난 전선은 빨간색 선으로 표시되며 한랭 전선은 파란색 선, 전선의 방향과 유형은 삼각형 및 기타 그림으로 표시됩니다. 기단의 상호 이동은 시간이 지나면서 상호작용이 느려질 수 있으며, 산이나 바다를 마주쳤을 때도 느려지고 멈출 수 있습니다. 이때 대기 이동이 사실상 멈춘 감속 전선을 정지상태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한랭전선이 온난전선을 따라잡고 그 전선에 접근하여 겹쳐진 상태가 되면 이를 폐색전선이라고 부릅니다.
기상 전선의 종류별 가져오는 영향
우선 공통적으로 어떤 종류의 기상 전선이든 바람의 세기와 방향을 포함한 날씨의 변화를 가져옵니다. 첫 번째로 온난전선(warm front)은 한랭전선보다 강수 지역이 훨씬 넓으며, 시속 20~30km 정도나 그 이하의 낮은 속도로 움직이므로 한랭전선에 비해 훨씬 느리게 이동합니다. 이 때문에 비는 하루 종일 또는 그 이상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는 한랭전선만큼 바람 증가가 강하지 않으며, 북반구에서는 온난전선이 남서쪽에서 북동쪽으로, 남반구에서는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움직이는 경향을 보입니다. 그리고 한랭전선(cold front)은 종종 돌풍과 뇌우, 스콜 등의 기상현상을 함께 동반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더 위험한 편입니다. 다만 일반적으로 한랭전선은 크게는 시속 80킬로미터 정도의 빠른 속도로도 이동하기 때문에 한랭전선이 가져오는 악천후는 갑자기 찾아오는 경우가 많으면서도 그만큼 오래 지속되지는 않는 편입니다. 그리고 이 한랭전선은 북반구에서는 보통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남반구에서는 남서쪽에서 북동쪽으로 이동합니다. 또한 이 기상 전선들의 표면 부분은 항상 땅에 비스듬히 닿아 있습니다. 이때 한랭전선의 경우에는 따뜻한 공기 아래 찬 공기가 뛰어올라 위로 올라갈 수밖에 없으며, 온난전선은 따뜻한 공기가 여전히 위로 올라오지만, 점차 그 아래의 차가운 공기를 짜내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한랭전선은 악천후를 먼저 가져오지만, 그다음에는 적란운으로 가득 찬 맑은 하늘을 가져옵니다. 이때는 가시거리가 좋으며 습도 또한 낮으며 상승기류를 동반합니다. 반면에 온난전선은 대체로 구름으로 뒤덮인 하늘을 가져오며, 이때 높은 습도와 안개, 비, 아지랑이 등을 가져오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리고 정체전선(stationary front)은 어느 한 기단이 다른 기단을 침투하지 못하고 균형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발생되는 기상 전선인데, 이 정체 전선은 이동보다는 남북으로 진동하는 일이 많으며 온난전선과 한랭전선 어느 쪽의 기상 현상도 발생할 수 있는 상태지만 이는 다른 기상 전선과 비교해서 바람이 약한 편이므로 가장 고요한 편입니다. 이와는 반대로 사이클론을 생성의 원인이 되는 다양한 동적 과정이 존재하는 폐색전선(occluded front)이 가장 위험한 편인데, 폐색전선은 한랭전선과 온난전선의 기상 현상이 혼합되어서 나타나므로 기상상태의 급격한 변화나 뇌우나 스콜 같은 악천후가 올 확률이 높으므로 미리 대비해야 합니다.